두 가지 이야기가 있다. 하나는 '놀라운 이야기', 다른 하나는 '끔찍한 이야기'. 어떤 이들은 두 가지 이야기 모두 진실일 수 있다고 말하는데 내게는 너무나 명확하게 하나의 이야기가 진실이며 다른 하나는 진실을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구급약처럼 여겨진다. 글쎄 내가 너무 차갑고 딱딱한 사람이어서일까. 작품에서 얘기하듯이 정말로 이것이 믿음의 문제라면 누군가를 설득하거나 이유를 분석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 다만 나는 '놀라운 이야기'가 진실이라면 굳이 '끔찍한 이야기'를 추가해서 둘 중 어느 것이 진실이냐고 물을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다. '끔찍한 이야기'가 그토록 가슴을 후벼파듯 끔찍할 수 있는 것도 시종 진실이라고 여겼던 이야기가 실은 감당할 수 없는 고통을 겪은 파이의 생존책이었음이 드러남으로 배가 되기 때문이다. '놀라운 이야기'의 속성들이 '끔찍한 이야기'와 데칼코마니처럼 정확히 겹쳐질때 두 이야기 사이에서는 핏빛 물감이 흘러내렸다. 


때문에 내가 소설에서 주목한 장면은 구명보트 위에서 벌어진 동물들간의 생존투쟁이었다. 결국 이 장면이 '끔찍한 이야기'에서 인간들 사이에 벌어진 일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이 파이이야기 플롯의 야망이 드러나는 지점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당연히 영화에서 과연 이 지점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가 나의 영화 관람의 포인트였다. 결과는 조금 실망스러웠는데 그것이 곧 영화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영화가 내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작품을 풀어냈기 때문이다. 


영화는 의도적으로 파이와 리차드 파커와의 관계에만 집중한다. 그것이 CG 구현의 기술적 문제 탓이었을 수도 있다. 좁은 보트 안에서 호랑이, 오랑우탄, 하이에나, 얼룩말을 모두 등장시키며 길게 이야기를 끌고 가는 것이 쉽지 않았음은 분명하다. 영화는 파이의 방주-구명보트에 등장동물들이 모두 승선하자 지체없이 파이와 파커를 제외한 나머지들을 제거한다. 그리고 런닝타임의 대부분을 파이와 리차드 파커의 대립과 공존을 위한 노력, 생존에의 모험에 할애한다. 이렇게 되면 후에 선박회사 직원들과의 대화에서 진실된 '끔찍한 이야기'가 공개될 때의 임팩트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또 '끔찍한 이야기'가 오로지 대사만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점도 아쉽다. 영화작법에선 통상적으로 관객에게 장면으로 보여주지 않으면 그것은 관객에겐 존재하지 않는 것과 다름없다라고 한다. 대사로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그 정보를 믿게 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반전의 포인트를 약화시켜가면서 영화가 얻어낸 것은 무엇인가. 바로 쓰리디 효과. 나는 영화가 소설 내러티브의 핵심 장점을 의도적으로 분쇄하여 최상의 쓰리디 효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고 생각한다. 보트 위 육상동물들의 움직임과 재현에는 품이 많이 드는 것에 비해 효용이 낮다. 바닷 속 동물들의 움직임은 바닷물이라는 저항이 거센 매질 속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부유하는 느낌, 공기방울 효과 등 쓰리디 효과를 주었을 때 보다 화려하게 보일 수 있는 요소가 많다. 보트 위에 발이 묶여있는 주요인물들의 정적인 동선에 비해 물속 생명체들은 관객의 코앞까지 왔다갔다하면서 자유롭고 속도감 있는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빛과 바닷물을 이용해 환상적인 풍경을 구성하고 제시하는 작업은 작업자들 스스로도 한편의 명화를 만드는 듯한 즐거움을 느꼈을 것이라 확신이 들만큼 아름다웠다. 


결과적으로 나는 영화가 소설에 최소한의 예의를 갖출만큼의 내러티브만 유지하면서 아름답고 효과적인 쓰리디 효과를 극대화하는 선택을 했으며 그것이 꽤 주요해 가장 성공적인 쓰리디 영화가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덧붙여 이 영화가 정말 믿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면 그것은 오히려 두 이야기 중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 혹은 신의 존재에 대한 물음이라기보다는 세상 어딘가에 우리가 아직 맞닥뜨려본 적 없는 마법같은 풍경과 장면들이 존재한다는 믿음에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것이 의심할 바없이 영화라는 매체가 우리에게 선사하는 가장 큰 선물 중 하나라고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