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악의 천사들, 로베르 브레송, 1943

1
안느 마리는 속세의 화려함을 좋아하는 처녀임에도 불구하고 신실한 마음에 이끌려 수녀가 된다. 그녀가 머무는 수녀원은 교도소의 출소자들을 받기도 하는 개방적인 수도원인데 원장 수녀를 따라나선 교도소 방문에서 안느 마리는 떼레즈라는 난폭한 여죄수를 만나게 된다. 이 만남 이후 신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확신한 안느 마리는 떼레즈를 수도원으로 데려와 그의 후견인이 되기를 자처한다. 하지만 출소한 떼레즈는 처음에 수도원 행을 거절했다가 자신을 감옥에 가게 한 전 남자친구을 살해한 후에야 도피처로 수도원을 이용한다. 안느 마리는 떼레즈에게 신심을 쏟는 데 몰두한 나머지 수도원의 규율을 어기고 다른 수녀들과 마찰을 일으킨다. 안느 마리의 관심이 귀찮은 떼레즈는 안느 마리와 생 존 수녀를 이간질 하여 결국 안느 마리를 내쫓는데 성공한다. 하지만 신실한 안느 마리는 집으로 돌아가지 않은 채 밤마다 몰래 수도원에 들어와 설립자의 무덤 앞에서 기도를 올리다 병약한 몸을 주체 못하고 쓰러진다. 결국 안느 마리는 수도원에서 원장 수녀님과 동료 수녀들의 애도 속에 죽음을 맞이 한다. 떼레즈는 안느 마리의 헌신적인 죽음 앞에 눈물을 흘리며 수도원을 찾아온 경찰에게 손목을 내주어 수갑을 찬다. 

2
영화사에서 유일무이한 독특한 스타일을 구축한 브레송의 첫 번째 장편작품인 만큼 이후에 정립된 그의 영화형식과의 비교를 통해 그가 출발점에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갔는가를 가늠해보는 것이 흥미로운 감상의 포인트가 될 것이다.

주제적인 측면에서는 브레송 초기 영화들과 일맥상통한다. 신실한 희생과 숭고한 죽음. 신념을 위해 어떠한 장애물에도 타협하지 않고 설사 그 끝에 죽음이 놓여 있다해도 멈추지 않는 인물들은 브레송 영화의 전형이다. 물론 차이점도 있다. 무엇보다 <죄악의 천사들>에서 배우들은 연기를 하고 있다. 연기는 연극의 산물이며 영화에서는 필요없다 라는 브레송의 영화관은 아직 정립되지 않았던 시기이다. 또 클로즈업을 통한 제유법을 구사하는 화면구성도 발견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화려하고 매끄러운 카메라 무빙이 종종 발견되고 전통적인 방식의 컷 구성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또 사운드와 이미지를 비종속적으로 사용하는 그의 개성도 아직은 눈에 띄지 않는 듯 했다. 다만 과감한 내러티브의 생략과 파편화된 에피소드의 구성은 맹아적인 형태로나마 존재함으로서 후에 만개하는 브레송 스타일의 본류로 여겨질 만하다. 

3
위의 특징들과 더불어 관념적인 대사들은 영화의 내용 파악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한글 자막으로 본 대사들이 과연 프랑스어로 된 본래의 대사와 과연 어느 정도의 간극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첫 시퀀스의 첩보작전을 방불케 하는 한 여죄수의 수도원 입성 장면은 수녀원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정보 제공 외에 어떤 기능을 하는 것인지, 또 그 수녀는 안느 마리와 떼레즈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질문하게 됐지만 어떤 유효한 답을 구하지 못했다. 좀 더 생각해볼 문제다.